AD
질병관리청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 위험이 큰 시기를 앞두고, 주요 매개체인 참진드기에 대한 전국 감시를 시작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14일부터 보건환경연구원,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거점센터 등과 협력해 전국 23개 지점에서 참진드기 발생 감시를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감시는 SFTS의 예방과 조기 대응을 위한 조치입니다.
참진드기는 유충, 약충, 성충의 세 단계를 거치며 각각 다른 숙주에 기생해 흡혈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봄에는 약충이 활동을 시작하고, 여름철에는 성충이 산란하면서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합니다. 가을에는 주로 유충이 출현해 진드기 밀도가 최고조에 달합니다.
국내에서는 작은참진드기가 SFTS를 전파하는 주요 매개체로, 이 진드기는 주로 4월부터 11월 사이 활발히 활동합니다.
감염된 진드기에게 물리면 5~14일 이내에 고열, 오심, 구토, 설사 등 증상이 나타납니다.
2013년 국내 첫 환자 발생 이후 지난해까지 SFTS 누적 환자는 2,065명에 이르며, 이 중 381명이 사망해 치명률은 약 18.5%에 달합니다. 현재까지 백신이나 특효 치료제가 없어 예방이 최선으로 꼽힙니다.
질병관리청은 SFTS 예방을 위해 △야외 활동 시 긴소매, 긴바지를 착용할 것 △발목 이상의 키를 가진 풀밭에는 들어가지 않을 것 △풀밭에 30분 이상 앉거나 눕지 않을 것 △외출 후에는 샤워하며 진드기 부착 여부를 꼼꼼히 확인할 것 등의 수칙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을 경우, 스스로 제거하려 하지 말고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안전하게 제거해야 2차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디지털뉴스팀 기자ㅣ류청희
제작 | 최지혜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질병관리청은 14일부터 보건환경연구원,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거점센터 등과 협력해 전국 23개 지점에서 참진드기 발생 감시를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감시는 SFTS의 예방과 조기 대응을 위한 조치입니다.
참진드기는 유충, 약충, 성충의 세 단계를 거치며 각각 다른 숙주에 기생해 흡혈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봄에는 약충이 활동을 시작하고, 여름철에는 성충이 산란하면서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합니다. 가을에는 주로 유충이 출현해 진드기 밀도가 최고조에 달합니다.
국내에서는 작은참진드기가 SFTS를 전파하는 주요 매개체로, 이 진드기는 주로 4월부터 11월 사이 활발히 활동합니다.
감염된 진드기에게 물리면 5~14일 이내에 고열, 오심, 구토, 설사 등 증상이 나타납니다.
2013년 국내 첫 환자 발생 이후 지난해까지 SFTS 누적 환자는 2,065명에 이르며, 이 중 381명이 사망해 치명률은 약 18.5%에 달합니다. 현재까지 백신이나 특효 치료제가 없어 예방이 최선으로 꼽힙니다.
질병관리청은 SFTS 예방을 위해 △야외 활동 시 긴소매, 긴바지를 착용할 것 △발목 이상의 키를 가진 풀밭에는 들어가지 않을 것 △풀밭에 30분 이상 앉거나 눕지 않을 것 △외출 후에는 샤워하며 진드기 부착 여부를 꼼꼼히 확인할 것 등의 수칙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을 경우, 스스로 제거하려 하지 말고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안전하게 제거해야 2차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디지털뉴스팀 기자ㅣ류청희
제작 | 최지혜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