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내학자가 핵실험을 하더라도 폭발 사고로 은폐할 수 있다는 무리한 주장을 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한반도전략센터장은 세종연구소가 16일 서울에서 개최한 2025년 제1차 세종특별정책포럼의 발표 자료를 통해 이런 주장을 펼쳤습니다.
정 센터장은 "일부 전문가는 '한국이 설사 핵탄두를 제조해도 이를 검증할 핵실험 장소를 구하기가 어렵다'고 한다"며, "그러나 수도권 외 지역은 지방소멸 현상까지 발생하고 있어 핵실험 장소를 구하기가 불가능하지는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길주군 풍계리의 만탑산에 핵실험장을 만든 것처럼 한국도 전방 지역 산에 핵실험용 갱도를 만들어 저위력 핵무기로 핵실험을 진행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핵실험으로 인해 소규모 인공지진이 발생하면 전방 지역의 지하폭탄 저장시설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고 발표함으로써 핵실험 사실을 은폐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까지 내놨습니다.
핵실험에 따른 인공지진은 자연지진과 달라 지진파 특성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핵무기의 폭발력은 저위력이라 해도 일반 재래식 폭탄과 비교가 안 된다는 점에서 납득이 어려운 주장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더구나 한국의 위상을 생각하면 군사적 필요에 따라 핵실험을 할 수는 있다 쳐도, 국제사회에 거짓으로 둘러댈 수 있다는 발상은 아무리 학자라 해도 무책임하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정 센터장이 속한 세종연구소는 민간연구기관이기는하나 외교부 소관이며, 한국의 대표적 통일·외교·안보 싱크탱크 중 한 곳으로 일정한 공적 역할을 하는 연구소입니다.
핵무장에 찬성하는 입장에 있으며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전방에서 핵실험을 했을 때 누출될 방사능에 따른 우리 군의 피해와 북한의 대응은 어떻게 할 것인가"라며 "황당한 이야기"라고 평했습니다.
자막편집: 박해진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성장 세종연구소 한반도전략센터장은 세종연구소가 16일 서울에서 개최한 2025년 제1차 세종특별정책포럼의 발표 자료를 통해 이런 주장을 펼쳤습니다.
정 센터장은 "일부 전문가는 '한국이 설사 핵탄두를 제조해도 이를 검증할 핵실험 장소를 구하기가 어렵다'고 한다"며, "그러나 수도권 외 지역은 지방소멸 현상까지 발생하고 있어 핵실험 장소를 구하기가 불가능하지는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길주군 풍계리의 만탑산에 핵실험장을 만든 것처럼 한국도 전방 지역 산에 핵실험용 갱도를 만들어 저위력 핵무기로 핵실험을 진행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핵실험으로 인해 소규모 인공지진이 발생하면 전방 지역의 지하폭탄 저장시설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고 발표함으로써 핵실험 사실을 은폐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까지 내놨습니다.
핵실험에 따른 인공지진은 자연지진과 달라 지진파 특성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핵무기의 폭발력은 저위력이라 해도 일반 재래식 폭탄과 비교가 안 된다는 점에서 납득이 어려운 주장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더구나 한국의 위상을 생각하면 군사적 필요에 따라 핵실험을 할 수는 있다 쳐도, 국제사회에 거짓으로 둘러댈 수 있다는 발상은 아무리 학자라 해도 무책임하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정 센터장이 속한 세종연구소는 민간연구기관이기는하나 외교부 소관이며, 한국의 대표적 통일·외교·안보 싱크탱크 중 한 곳으로 일정한 공적 역할을 하는 연구소입니다.
핵무장에 찬성하는 입장에 있으며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전방에서 핵실험을 했을 때 누출될 방사능에 따른 우리 군의 피해와 북한의 대응은 어떻게 할 것인가"라며 "황당한 이야기"라고 평했습니다.
자막편집: 박해진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