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이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한국 조선업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글로벌 해운사들이 수수료 부담을 피하기 위해 중국산 선박 비중을 줄이고 한국 조선업체에 대한 발주를 늘릴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시간)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자국 조선업 재건 기조의 연장선상으로 한국 조선업은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동안 중국 조선업은 공격적인 저가 수주를 통해 글로벌 점유율을 높여왔는데 이번 입항 수수료로 가격 경쟁력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지난해 전 세계 수주량의 71%를 차지했고, 한국은 17%를 수주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이전까지는 많은 선사가 원자재와 인건비 등에서 저렴한 중국 선박을 찾았다"며 "이번 미국 정부의 정책을 신호탄으로 국내 조선사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한국이 경쟁력을 가진 고부가가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비롯해 미국 물동량 비중이 높은 액화석유가스(LPG)와 에탄 운반선 수주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자막편집: 박해진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글로벌 해운사들이 수수료 부담을 피하기 위해 중국산 선박 비중을 줄이고 한국 조선업체에 대한 발주를 늘릴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시간)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자국 조선업 재건 기조의 연장선상으로 한국 조선업은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동안 중국 조선업은 공격적인 저가 수주를 통해 글로벌 점유율을 높여왔는데 이번 입항 수수료로 가격 경쟁력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지난해 전 세계 수주량의 71%를 차지했고, 한국은 17%를 수주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이전까지는 많은 선사가 원자재와 인건비 등에서 저렴한 중국 선박을 찾았다"며 "이번 미국 정부의 정책을 신호탄으로 국내 조선사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한국이 경쟁력을 가진 고부가가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비롯해 미국 물동량 비중이 높은 액화석유가스(LPG)와 에탄 운반선 수주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자막편집: 박해진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