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최근 흰쌀밥보다 현미밥이 건강식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일부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미가 백미보다 더 높은 수준의 '무기 비소'를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무기 비소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중금속으로, 농약과 살충제 등에서 발견되는 무기 비소는 인체에 축적되면 발암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지난 15일 미국 경제 잡지 포춘에 따르면, 미국 미시간주립대 연구팀이 현미와 백미의 비소 노출을 비교 분석한 결과, 현미가 백미보다 총 비소 함량이 약 24%, 무기 비소가 약 40% 더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비소 농도는 백미보다 최대 10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미의 쌀겨 부분에 비소가 많이 축적되기 때문이다.
반면 백미는 도정 과정을 거치며 외피가 제거되기 때문에 비소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현미는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가가 높아 영양학적으로는 더 우수하지만, 독성 성분 함량이 더 높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성인에게는 큰 건강 위험을 초래하지 않지만, 체중 대비 음식 섭취량이 높은 5세 미만 어린이에게는 비소 노출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습니다.
실제로 생후 6~24개월 영유아는 백미를 섭취한 같은 연령대 어린이와 비교했을 때 비소 노출 추정치가 두 배 이상 높았습니다.
연구팀은 현미 섭취를 하지 말라는 경고는 아니라고 강조하면서도, 어린 자녀를 둔 부모와 보호자가 섬세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비소 함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쌀을 여러 번 씻고, 충분한 양의 물에 불린 후 버리고 새 물로 밥을 짓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조언했습니다.
디지털뉴스팀 기자ㅣ류청희
AI 앵커ㅣY-GO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무기 비소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중금속으로, 농약과 살충제 등에서 발견되는 무기 비소는 인체에 축적되면 발암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지난 15일 미국 경제 잡지 포춘에 따르면, 미국 미시간주립대 연구팀이 현미와 백미의 비소 노출을 비교 분석한 결과, 현미가 백미보다 총 비소 함량이 약 24%, 무기 비소가 약 40% 더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비소 농도는 백미보다 최대 10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미의 쌀겨 부분에 비소가 많이 축적되기 때문이다.
반면 백미는 도정 과정을 거치며 외피가 제거되기 때문에 비소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현미는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가가 높아 영양학적으로는 더 우수하지만, 독성 성분 함량이 더 높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성인에게는 큰 건강 위험을 초래하지 않지만, 체중 대비 음식 섭취량이 높은 5세 미만 어린이에게는 비소 노출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습니다.
실제로 생후 6~24개월 영유아는 백미를 섭취한 같은 연령대 어린이와 비교했을 때 비소 노출 추정치가 두 배 이상 높았습니다.
연구팀은 현미 섭취를 하지 말라는 경고는 아니라고 강조하면서도, 어린 자녀를 둔 부모와 보호자가 섬세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비소 함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쌀을 여러 번 씻고, 충분한 양의 물에 불린 후 버리고 새 물로 밥을 짓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조언했습니다.
디지털뉴스팀 기자ㅣ류청희
AI 앵커ㅣY-GO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