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인가, 자기 보호인가
트럼프 대통령의 포트폴리오와 정책의 교차점
트럼프 대통령의 포트폴리오와 정책의 교차점
AD
지난 4월 9일, 미국과 전 세계 시장은 급격한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그날 예정되어 있던 대규모 관세를 전격 보류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추락하던 주가는 반등했고, 불안에 떨던 채권 시장은 숨을 돌렸습니다. 하지만 시장의 안도감 뒤에서, 한 가지 질문이 조용히 퍼져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그 질문은 바로 “트럼프는 왜, 하필 4월 9일 그날, 관세를 유예했을까?”입니다.
트럼프는 스스로 단서를 흘렸습니다.
“나는 채권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었다. 채권 시장은 매우 민감하다”
트럼프의 이 말은 단순한 경제적 판단으로 들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가 단지 ‘시장 동향’을 관찰한 것이 아니라, 직접 채권 시장에 투자한 당사자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혹은 전혀 다른 차원으로 번졌습니다.
<뉴욕타임스>의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는 지난해 기준 최소 1억 2,500만 달러, 많게는 4억 달러, 우리 돈 약 5천5백억 원 이상을 채권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주식에 투자한 금액보다 두세 배 이상 많은 규모입니다. 채권 투자 중 약 80%는 지방채, 나머지는 국채와 대기업 회사채로 알려졌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트럼프가 채권 시장에 단순히 관심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입장이었다는 점입니다.
[정책인가, 자기 보호인가]
4월 초, 트럼프가 발표한 고율 관세는 시장에 큰 충격을 줬습니다. S&P 500은 4월 3일부터 8일까지 4.2% 하락하며 1년 치 상승분을 단숨에 반납했고,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던 채권 시장조차 매도 압력에 휘청였습니다.
블랙록의 지방채 ETF는 4월 8일 하루에만 2.3% 하락하며 2020년 팬데믹 이후 가장 큰 하루 낙폭을 기록했고, 블룸버그 지방채 수익률은 며칠 새 1%p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지방채를 다량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에겐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이었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 시점, 트럼프가 ‘90일 관세 유예’를 선언했습니다. 공교롭게도, 국채와 지방채 시장은 발표 직후 빠르게 안정을 되찾았습니다. 단순한 우연일까요? 아니면, 대통령의 개인 자산을 보호하려는 사익 추구가 국가 정책을 좌우한 것일까요?
[트럼프 대통령의 포트폴리오와 정책의 교차점]
트럼프는 대통령이 된 이후에도 자산을 직접 통제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포트폴리오 중 약 60%를 채권, 30%를 현금성 자산, 그리고 10% 미만을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관세 정책의 여파로 주식 시장이 폭락할 때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트럼프. 하지만 채권 시장이 흔들리자 곧바로 태도를 바꿨습니다. 트럼프의 결정이 ‘국익’을 위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사익’의 그림자가 드리운 것이었는지, 분명한 증거는 아직 없습니다. 다만 정책 변화와 트럼프의 투자 이익 간의 상관관계는 합리적 의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합니다.
뉴욕 검찰이 트럼프의 측근 일부가 관세 유예 전후에 내부 정보를 활용해 채권이나 주식 거래를 했는지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도 이 의혹의 무게감을 더해주고 있습니다.
미국 법률은 고위 공직자의 이해충돌을 막기 위해 재산을 신탁회사에 맡긴 뒤 운용 내용을 본인이 알 수 없도록 하는 ‘블라인드 트러스트(blind trust)’ 제도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권고일 뿐, 법적 의무는 아닙니다. 트럼프는 대통령 당선 이후 자산을 신탁에 맡기지 않았고, 모든 금융 투자를 직접 통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해충돌 가능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될 때마다 “나는 내가 뭘 하고 있는지 잘 안다”며 자신감을 나타냈습니다.
`
결국, 트럼프의 결정이 국익을 위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사익을 위한 것이었는지에 대한 해답은 역사의 몫으로 남겨졌습니다.
그럼에도 지금 이 순간, 한가지 사실만큼은 분명합니다.
국가 정책과 개인 자산이 얽힐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은 공직자의 윤리이자, 민주주의의 기본이라는 점입니다.
기획 : 김재형(jhkim03@ytn.co.kr)
제작 : 손민성(smis93@ytn.co.kr)
참고 기사 :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YTN 김재형 (jhkim03@ytn.co.kr)
YTN 손민성 (smis93@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그날 예정되어 있던 대규모 관세를 전격 보류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추락하던 주가는 반등했고, 불안에 떨던 채권 시장은 숨을 돌렸습니다. 하지만 시장의 안도감 뒤에서, 한 가지 질문이 조용히 퍼져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그 질문은 바로 “트럼프는 왜, 하필 4월 9일 그날, 관세를 유예했을까?”입니다.
트럼프는 스스로 단서를 흘렸습니다.
“나는 채권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었다. 채권 시장은 매우 민감하다”
트럼프의 이 말은 단순한 경제적 판단으로 들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가 단지 ‘시장 동향’을 관찰한 것이 아니라, 직접 채권 시장에 투자한 당사자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혹은 전혀 다른 차원으로 번졌습니다.
<뉴욕타임스>의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는 지난해 기준 최소 1억 2,500만 달러, 많게는 4억 달러, 우리 돈 약 5천5백억 원 이상을 채권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주식에 투자한 금액보다 두세 배 이상 많은 규모입니다. 채권 투자 중 약 80%는 지방채, 나머지는 국채와 대기업 회사채로 알려졌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트럼프가 채권 시장에 단순히 관심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입장이었다는 점입니다.
[정책인가, 자기 보호인가]
4월 초, 트럼프가 발표한 고율 관세는 시장에 큰 충격을 줬습니다. S&P 500은 4월 3일부터 8일까지 4.2% 하락하며 1년 치 상승분을 단숨에 반납했고,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던 채권 시장조차 매도 압력에 휘청였습니다.
블랙록의 지방채 ETF는 4월 8일 하루에만 2.3% 하락하며 2020년 팬데믹 이후 가장 큰 하루 낙폭을 기록했고, 블룸버그 지방채 수익률은 며칠 새 1%p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지방채를 다량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에겐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이었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 시점, 트럼프가 ‘90일 관세 유예’를 선언했습니다. 공교롭게도, 국채와 지방채 시장은 발표 직후 빠르게 안정을 되찾았습니다. 단순한 우연일까요? 아니면, 대통령의 개인 자산을 보호하려는 사익 추구가 국가 정책을 좌우한 것일까요?
[트럼프 대통령의 포트폴리오와 정책의 교차점]
트럼프는 대통령이 된 이후에도 자산을 직접 통제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포트폴리오 중 약 60%를 채권, 30%를 현금성 자산, 그리고 10% 미만을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관세 정책의 여파로 주식 시장이 폭락할 때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트럼프. 하지만 채권 시장이 흔들리자 곧바로 태도를 바꿨습니다. 트럼프의 결정이 ‘국익’을 위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사익’의 그림자가 드리운 것이었는지, 분명한 증거는 아직 없습니다. 다만 정책 변화와 트럼프의 투자 이익 간의 상관관계는 합리적 의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합니다.
뉴욕 검찰이 트럼프의 측근 일부가 관세 유예 전후에 내부 정보를 활용해 채권이나 주식 거래를 했는지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도 이 의혹의 무게감을 더해주고 있습니다.
미국 법률은 고위 공직자의 이해충돌을 막기 위해 재산을 신탁회사에 맡긴 뒤 운용 내용을 본인이 알 수 없도록 하는 ‘블라인드 트러스트(blind trust)’ 제도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권고일 뿐, 법적 의무는 아닙니다. 트럼프는 대통령 당선 이후 자산을 신탁에 맡기지 않았고, 모든 금융 투자를 직접 통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해충돌 가능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될 때마다 “나는 내가 뭘 하고 있는지 잘 안다”며 자신감을 나타냈습니다.
`
결국, 트럼프의 결정이 국익을 위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사익을 위한 것이었는지에 대한 해답은 역사의 몫으로 남겨졌습니다.
그럼에도 지금 이 순간, 한가지 사실만큼은 분명합니다.
국가 정책과 개인 자산이 얽힐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은 공직자의 윤리이자, 민주주의의 기본이라는 점입니다.
기획 : 김재형(jhkim03@ytn.co.kr)
제작 : 손민성(smis93@ytn.co.kr)
참고 기사 :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YTN 김재형 (jhkim03@ytn.co.kr)
YTN 손민성 (smis93@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