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그의 지지자들이 '문화 전쟁'에서 자신들의 편을 들어 줄 보수파 인사가 새 교황으로 뽑히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영국 일간 더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더타임스는 권력자들은 옛날부터 교황 선출에 영향을 미치고 싶어했다고 지적하면서, 요즘은 돈과 통신 기술을 결합하면 곧 열릴 교황 선거에도 영향을 미칠 기회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교회사 권위자인 알베르토 멜로니 교수는 더타임스에 우익 포퓰리스트들이 정치적 목적을 위해 가톨릭 교회를 이용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모데나 레지오에밀리아 대학교에 재직중인 멜로니 교수는 가톨릭 신자인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전날이며 부활절이던 20일에 교황을 알현한 점,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 부부가 26일 교황 장례식에 참석한 것이 그런 시도의 일환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만약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우파 인사들의 뜻대로 된다면, 새 교황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전혀 하고 싶어하지 않았던 일, 즉 강론대를 이용해 전통적 세계관의 장점을 옹호하는 행위를 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멜로니 교수는 "서방세계 전역에서 우익세력은 정체성, 이민, 젠더 정책에서 가톨릭 교회가 지원세력이 돼주기를 바란다"며 "러시아에서 푸틴이 정교회의 지원을 받아서 했던 일에 대한 부러움이 (서방세계 우익세력에게)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더타임스에 따르면 멜로니 교수는 최근 낸 콘클라베에 관한 책에서 즉각적인 글로벌 통신의 시대에 교황 후보자들이 비방과 흑색선전에 취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설령 아무리 근거가 없는 주장이더라도 성직자 성비위 사건을 은폐한 적이 있다는 식의 얘기가 일단 퍼지기만 하면 교황 당선 기회가 무산될 수 있다는 것이 멜로니 교수의 지적입니다.
특히 교황 선종 15∼20일 후에 시작되는 콘클라베 직전에 이런 소문이 퍼지게 되면 치명적입니다.
오래 전부터 강대국 군주들은 자기에게 유리한 일을 해 줄 사람이 교황이 되게 하려고 힘을 써 왔습니다.
17세기와 18세기에는 콘클라베에 참가하는 추기경들이 친프랑스파, 친스페인파, 친오스트리아파 등 "당파"로 갈렸다고 멜로니 교수는 지적했습니다.
프랑스, 스페인, 오스트리아의 가톨릭 군주들은 각각 자신에게 교황 선출에 대한 '거부권'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1903년 콘클라베에서는 유력 후보였던 마리아노 람폴라 추기경이 당선에 필요한 표 수를 확보하고도 오스트리아 황제의 '거부권 행사' 탓에 낙마하기도 했습니다.
이 덕택에 어부지리로 당선된 비오 10세 교황은 이런 '거부권 행사'를 불법화하기 위해 콘클라베 규칙을 바꿔버렸습니다.
이번에 이탈리아 출신이 교황으로 당선된다면 거의 50년만에 '아웃사이더 교황들'의 시대가 중단되고 전통으로 회귀하는 것이어서 무난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의 '아웃사이더 교황' 3명 중 정치·사회적인 의미에서 보수우익에 특별히 친화적인 인물은 없었습니다.
베네딕토 16세가 비교적 '보수파'라는 인식이 일각에 있지만, 신학 교수 출신인 그는 1960년대에 가톨릭 2천년 역사상 최대 개혁으로 꼽히며 당시 보수파들의 극렬한 반발을 부른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개혁의 틀을 기획하고 주요 문건들의 초안을 집필한 개혁의 선봉장이었습니다.
멜로니 교수는 현재 '파파빌리'(교황으로 뽑힐 가능성이 있는 이들)에 대해 "신경이 곤두선 채 시에나 팔리오(유명한 경마대회)에서 출발을 기다리는 말들과 같다"며 유력 후보를 꼽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다만 (프란치스코와 같은) 예수회 출신이나 (베네딕토 16세와 같은) 독일인이나 (요한 바오로 2세와 같은) 폴란드인은 아닐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더타임스는 "밴스(미국 부통령)는 짐을 싸서 돌아갔지만, 트럼프 지지자들은 (콘클라베가 열리는) 시스티나 성당에서 확실한 친구가 (교황으로 선출돼) 등장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제작 | 이미영
#지금이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더타임스는 권력자들은 옛날부터 교황 선출에 영향을 미치고 싶어했다고 지적하면서, 요즘은 돈과 통신 기술을 결합하면 곧 열릴 교황 선거에도 영향을 미칠 기회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교회사 권위자인 알베르토 멜로니 교수는 더타임스에 우익 포퓰리스트들이 정치적 목적을 위해 가톨릭 교회를 이용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모데나 레지오에밀리아 대학교에 재직중인 멜로니 교수는 가톨릭 신자인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전날이며 부활절이던 20일에 교황을 알현한 점,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 부부가 26일 교황 장례식에 참석한 것이 그런 시도의 일환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만약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우파 인사들의 뜻대로 된다면, 새 교황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전혀 하고 싶어하지 않았던 일, 즉 강론대를 이용해 전통적 세계관의 장점을 옹호하는 행위를 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멜로니 교수는 "서방세계 전역에서 우익세력은 정체성, 이민, 젠더 정책에서 가톨릭 교회가 지원세력이 돼주기를 바란다"며 "러시아에서 푸틴이 정교회의 지원을 받아서 했던 일에 대한 부러움이 (서방세계 우익세력에게)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더타임스에 따르면 멜로니 교수는 최근 낸 콘클라베에 관한 책에서 즉각적인 글로벌 통신의 시대에 교황 후보자들이 비방과 흑색선전에 취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설령 아무리 근거가 없는 주장이더라도 성직자 성비위 사건을 은폐한 적이 있다는 식의 얘기가 일단 퍼지기만 하면 교황 당선 기회가 무산될 수 있다는 것이 멜로니 교수의 지적입니다.
특히 교황 선종 15∼20일 후에 시작되는 콘클라베 직전에 이런 소문이 퍼지게 되면 치명적입니다.
오래 전부터 강대국 군주들은 자기에게 유리한 일을 해 줄 사람이 교황이 되게 하려고 힘을 써 왔습니다.
17세기와 18세기에는 콘클라베에 참가하는 추기경들이 친프랑스파, 친스페인파, 친오스트리아파 등 "당파"로 갈렸다고 멜로니 교수는 지적했습니다.
프랑스, 스페인, 오스트리아의 가톨릭 군주들은 각각 자신에게 교황 선출에 대한 '거부권'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1903년 콘클라베에서는 유력 후보였던 마리아노 람폴라 추기경이 당선에 필요한 표 수를 확보하고도 오스트리아 황제의 '거부권 행사' 탓에 낙마하기도 했습니다.
이 덕택에 어부지리로 당선된 비오 10세 교황은 이런 '거부권 행사'를 불법화하기 위해 콘클라베 규칙을 바꿔버렸습니다.
이번에 이탈리아 출신이 교황으로 당선된다면 거의 50년만에 '아웃사이더 교황들'의 시대가 중단되고 전통으로 회귀하는 것이어서 무난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의 '아웃사이더 교황' 3명 중 정치·사회적인 의미에서 보수우익에 특별히 친화적인 인물은 없었습니다.
베네딕토 16세가 비교적 '보수파'라는 인식이 일각에 있지만, 신학 교수 출신인 그는 1960년대에 가톨릭 2천년 역사상 최대 개혁으로 꼽히며 당시 보수파들의 극렬한 반발을 부른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개혁의 틀을 기획하고 주요 문건들의 초안을 집필한 개혁의 선봉장이었습니다.
멜로니 교수는 현재 '파파빌리'(교황으로 뽑힐 가능성이 있는 이들)에 대해 "신경이 곤두선 채 시에나 팔리오(유명한 경마대회)에서 출발을 기다리는 말들과 같다"며 유력 후보를 꼽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다만 (프란치스코와 같은) 예수회 출신이나 (베네딕토 16세와 같은) 독일인이나 (요한 바오로 2세와 같은) 폴란드인은 아닐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더타임스는 "밴스(미국 부통령)는 짐을 싸서 돌아갔지만, 트럼프 지지자들은 (콘클라베가 열리는) 시스티나 성당에서 확실한 친구가 (교황으로 선출돼) 등장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제작 | 이미영
#지금이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