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꽃사슴 수십 마리가 떼를 지어 숲 속을 달립니다.
하늘에서 내려다봐도 쉴 새 없이 움직이는 사슴이 한두 마리가 아닙니다.
바닷가에도 무리 지어 다니면서 풀을 뜯어 먹고, 줄지어 헤엄쳐 근처 다른 섬으로 자유자재로 오가기도 합니다.
전남 영광군 안마도 주민은 150명인데, 꽃사슴은 937마리입니다.
1985년쯤 축산업자들이 녹용 채취를 위해 10여 마리를 기르다가 방치하면서 천적도 없는 섬에서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났습니다.
나무껍질과 열매 등을 몽땅 뜯어 먹어서 식물들은 고사했고, 최근 5년 동안 1억 6천여만 원어치의 농작물도 먹어 치웠습니다.
안마도 뿐만 아니라 인천 굴업도에도 180마리 정도가 서식하는 등 전국 곳곳에서 꽃사슴 개체 수는 엄청나게 불어나고 있습니다.
피해가 속출하면서 결국 환경부는 꽃사슴을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했습니다.
피해를 입은 주민이 포획 신청을 하면 이를 허가해 개체 수 조절을 하겠다는 겁니다.
또 꽃사슴을 숙주로 기생하는 진드기에 사람이 물릴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만큼 전염병 유해 동물로도 지정되면 살처분 등도 할 수 있습니다.
YTN 염혜원입니다.
영상편집ㅣ전자인
화면제공ㅣ환경부
자막뉴스ㅣ이 선 이도형
#YTN자막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하늘에서 내려다봐도 쉴 새 없이 움직이는 사슴이 한두 마리가 아닙니다.
바닷가에도 무리 지어 다니면서 풀을 뜯어 먹고, 줄지어 헤엄쳐 근처 다른 섬으로 자유자재로 오가기도 합니다.
전남 영광군 안마도 주민은 150명인데, 꽃사슴은 937마리입니다.
1985년쯤 축산업자들이 녹용 채취를 위해 10여 마리를 기르다가 방치하면서 천적도 없는 섬에서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났습니다.
나무껍질과 열매 등을 몽땅 뜯어 먹어서 식물들은 고사했고, 최근 5년 동안 1억 6천여만 원어치의 농작물도 먹어 치웠습니다.
안마도 뿐만 아니라 인천 굴업도에도 180마리 정도가 서식하는 등 전국 곳곳에서 꽃사슴 개체 수는 엄청나게 불어나고 있습니다.
피해가 속출하면서 결국 환경부는 꽃사슴을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했습니다.
피해를 입은 주민이 포획 신청을 하면 이를 허가해 개체 수 조절을 하겠다는 겁니다.
또 꽃사슴을 숙주로 기생하는 진드기에 사람이 물릴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만큼 전염병 유해 동물로도 지정되면 살처분 등도 할 수 있습니다.
YTN 염혜원입니다.
영상편집ㅣ전자인
화면제공ㅣ환경부
자막뉴스ㅣ이 선 이도형
#YTN자막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