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방송 : YTN, YTN KOREAN, YTN WORLD
■ 진행 : 개그맨 서승만
3월 9일은 대한민국 20대 대통령 선거일인데요.
사전투표보다 먼저 이뤄지는 투표가 있습니다.
바로 재외국민 투표인데요.
오는 23일부터 28일까지 이뤄지는 재외선거, 그 첫 시작은 언제였을까요?
재외선거는 외국에 체류하거나 거주하는 우리 대한민국 국민, 즉 재외국민이 한국의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도인데요.
재외국민 가운데 18세 이상으로 선거 기간에 해외 출장 중이거나 해외에 거주 중인 경우 또는 우리나라 국적과 외국의 영주권을 동시에 가진 경우에 선거권을 갖습니다.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재외투표를 신청한 유권자는 22만 6천여 명에 달한다고 하네요.
한국에서 처음 국외 유권자투표가 이뤄진 건 지난 1967년 대선 때인데요.
당시 파독 광부와 간호사 등이 대한민국 최초의 해외부재자투표에 참여했습니다.
이후 선거법 개정으로 현재의 재외선거제도가 도입됐고요.
딱 10년 전인 2012년, 19대 총선 때 첫 번째 재외국민투표가 이뤄졌습니다.
재외국민은 선거 60일 전까지 인터넷 등을 통해 선거인 등록을 해야 하는데요.
투표는 반드시 정해진 기간 안에 각국 공관 등에 마련된 투표소를 방문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투표 여행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먼 거리를 이동해 투표하는 경우도 많다고 하네요.
정말 소중한 한 표죠.
투표지는 직접 회송용 봉투에 넣고 봉함해 투표함에 넣고요.
재외투표용지는 외교행낭으로 국내로 이송해 개표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23일부터 시작될 재외국민 투표. 선거인 등록을 하셨다면 신분확인에 필요한 서류 꼼꼼히 챙겨서 투표소 방문하시고요.
세계적으로 여전히 코로나19의 기세가 무섭습니다.
방역 유의하셔서 안전~하고 건강한 투표하시길 바랍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진행 : 개그맨 서승만
3월 9일은 대한민국 20대 대통령 선거일인데요.
사전투표보다 먼저 이뤄지는 투표가 있습니다.
바로 재외국민 투표인데요.
오는 23일부터 28일까지 이뤄지는 재외선거, 그 첫 시작은 언제였을까요?
재외선거는 외국에 체류하거나 거주하는 우리 대한민국 국민, 즉 재외국민이 한국의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도인데요.
재외국민 가운데 18세 이상으로 선거 기간에 해외 출장 중이거나 해외에 거주 중인 경우 또는 우리나라 국적과 외국의 영주권을 동시에 가진 경우에 선거권을 갖습니다.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재외투표를 신청한 유권자는 22만 6천여 명에 달한다고 하네요.
한국에서 처음 국외 유권자투표가 이뤄진 건 지난 1967년 대선 때인데요.
당시 파독 광부와 간호사 등이 대한민국 최초의 해외부재자투표에 참여했습니다.
이후 선거법 개정으로 현재의 재외선거제도가 도입됐고요.
딱 10년 전인 2012년, 19대 총선 때 첫 번째 재외국민투표가 이뤄졌습니다.
재외국민은 선거 60일 전까지 인터넷 등을 통해 선거인 등록을 해야 하는데요.
투표는 반드시 정해진 기간 안에 각국 공관 등에 마련된 투표소를 방문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투표 여행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먼 거리를 이동해 투표하는 경우도 많다고 하네요.
정말 소중한 한 표죠.
투표지는 직접 회송용 봉투에 넣고 봉함해 투표함에 넣고요.
재외투표용지는 외교행낭으로 국내로 이송해 개표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23일부터 시작될 재외국민 투표. 선거인 등록을 하셨다면 신분확인에 필요한 서류 꼼꼼히 챙겨서 투표소 방문하시고요.
세계적으로 여전히 코로나19의 기세가 무섭습니다.
방역 유의하셔서 안전~하고 건강한 투표하시길 바랍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