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방송 : YTN, YTN WORLD, YTN KOREAN
■ 진행 : 앵커 박석원
반증과 방증.
뜻은 다르지만 발음과 모양이 비슷해서 사용할 때 헷갈리는 단어들인데요.
간혹 언론에서도 잘못 사용하곤 하죠.
이 두 낱말의 차이는 과연 뭘까요?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오랜만에 문제 하나 풀어볼까요?
다음 문장에서 맞는 단어를 고르세요.
“그의 주장은 논리가 치밀해서 <반증/방증>을 하기가 어렵다”
“이 자료는 독도가 우리 땅임을 알려주는 <반증/방증>이다” 선택하셨나요?
첫 번째 문장의 정답은 반증입니다.
두 번째 문장에 들어가야 할 단어는, 방증입니다.
헷갈리신다고요. 지금부터 설명 드릴게요.
먼저 반증은 한자로 ‘뒤집을 증거’라는 의미고요.
‘어떤 사실이나 주장이 옳지 아니함을 그에 반대되는 근거를 들어 증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어떤 주장에 대한 ‘반대 증거’가 반증이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방증은 ‘곁 방’에 ‘증거 증’을 쓰고요.
쉽게 표현하면 어떤 사실에 대한 ‘간접 증거’입니다.
문제를 다시 볼까요.
첫 번째 문장은 논리가 치밀해서 그 주장을 뒤집을 수 있는 반대증거를 대기가 어렵다는 의미죠?
그래서 반증이 맞는 표현이고요.
두 번째 문장은 이 자료가 독도가 우리 땅임을 알려주는 증거라는 뜻으로 방증이 맞습니다.
앞서 전해드린 뉴스화면에서 '못 보던 작품이 많이 등장'하는 건 호황의 반대증거가 아니죠.
잘못된 표현이고요. 미술계 호황의 간접증거를 뜻하는 방증을 써야 옳습니다.
반증과 방증. 두 단어 모두 증거를 들어 밝히는 일과 관련 있지만 그 뜻은 엄연히 다르죠.
언론에서도 잘 구분해서 써야 할 것 같고요.
저희 뉴스말모이가 더 큰 관심을 받는다면 우리말에 대한 여러분의 관심도 커진다는 방증이겠죠?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진행 : 앵커 박석원
반증과 방증.
뜻은 다르지만 발음과 모양이 비슷해서 사용할 때 헷갈리는 단어들인데요.
간혹 언론에서도 잘못 사용하곤 하죠.
이 두 낱말의 차이는 과연 뭘까요?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오랜만에 문제 하나 풀어볼까요?
다음 문장에서 맞는 단어를 고르세요.
“그의 주장은 논리가 치밀해서 <반증/방증>을 하기가 어렵다”
“이 자료는 독도가 우리 땅임을 알려주는 <반증/방증>이다” 선택하셨나요?
첫 번째 문장의 정답은 반증입니다.
두 번째 문장에 들어가야 할 단어는, 방증입니다.
헷갈리신다고요. 지금부터 설명 드릴게요.
먼저 반증은 한자로 ‘뒤집을 증거’라는 의미고요.
‘어떤 사실이나 주장이 옳지 아니함을 그에 반대되는 근거를 들어 증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어떤 주장에 대한 ‘반대 증거’가 반증이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방증은 ‘곁 방’에 ‘증거 증’을 쓰고요.
쉽게 표현하면 어떤 사실에 대한 ‘간접 증거’입니다.
문제를 다시 볼까요.
첫 번째 문장은 논리가 치밀해서 그 주장을 뒤집을 수 있는 반대증거를 대기가 어렵다는 의미죠?
그래서 반증이 맞는 표현이고요.
두 번째 문장은 이 자료가 독도가 우리 땅임을 알려주는 증거라는 뜻으로 방증이 맞습니다.
앞서 전해드린 뉴스화면에서 '못 보던 작품이 많이 등장'하는 건 호황의 반대증거가 아니죠.
잘못된 표현이고요. 미술계 호황의 간접증거를 뜻하는 방증을 써야 옳습니다.
반증과 방증. 두 단어 모두 증거를 들어 밝히는 일과 관련 있지만 그 뜻은 엄연히 다르죠.
언론에서도 잘 구분해서 써야 할 것 같고요.
저희 뉴스말모이가 더 큰 관심을 받는다면 우리말에 대한 여러분의 관심도 커진다는 방증이겠죠?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