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킹에 대한 10가지 질문
마동훈 교수
기록: 서정호 (YTN PLUS 모바일프로젝트팀장 , YTN)
최종수정: 2017년 04월 04일(화)
※ 이 세미나는 한국기자협회, 한국언론학회, 삼성언론재단의 주관으로 열린 제3회 한국저널리즘컨퍼런스로써, 마동훈 고려대 교수가 주제발표를 했다. 사례발표 및 토론으로는 ‘중앙일보 팩트체커 뉴스’라는 사례로 김환영 중앙일보 심의실장, ‘SBS 사실은’이라는 사례로 정명원 SBS 8시뉴스 데스크, ‘SNU FactCheck’라는 사례로 윤석민 서울대 교수가 함께했다. 본 편집자는 전체 세미나 가운데 마동훈 교수의 글을 중심으로 기록을 했으며, 끝으로 윤석민 교수에 대한 질의응답과 글을 인용함으로 마무리했다.
저널리즘의 문제는 밖의 문제가 있고 안의 문제가 있다. 밖은 제도, 법규 등이다. 오늘은 안의 문제를 이야기하고 싶다.
저널리즘 안의 문제는 신뢰의 문제로 종착된다. 메이저 언론사와 정치인, 포털 등에서 나오는 정보들은 독자들이 신뢰를 하고 있는가, 아닌가? 신뢰가 중요하다. 팩트는 그 자체가 언론의 본분이다. 그것은 일반명사다. 기자는 팩트를 체크하기 위해 존재해 왔다. 하지만 그것은 기능적으로 팩트체킹을 위해서 활용된다는 것은 아이러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예를 들어 오바마는 무슬림이다. 트럼프는 교황의 지지를 받고 있다. 이런 정보는 불신의 것인데,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얼마 전 국정사태와 관련 있는 고영태 씨가, 한 유력 정치인의 조카라는 정보도 있었다. 사실인가, 아닌가? 또 세월호는 핵 잠수함과 부딪혔다는 것, 특히 세월호는 물속에 있으므로 입증이 어렵다. 이런 사실이 유통되는 것은 우리 마음을 심란하게 한다. 불신의 늪으로 빠뜨리고 마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페이스북이 팩트체킹 시스템을 도입하려고 한다. 그들은 믿지 못할 뉴스에 대해서 ‘Disrupted News’ 라고 표시했다. 독일에서는 거짓말을 유통시킨 포털에 대해서 최대 600억 원 정도의 벌금을 내야한다는 논의가 나오고 있다. 프랑스는 17개 언론사가 참여하는 크로스 체크 시스템이 가동 중이다. 이런 노력들은 지금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확인되지 않은 정보들을 어떻게 골라낼 것인가로 수렴된다.
지금이 아주 특별한 시대라서, 그래서 팩트체킹이 필요한 시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얼마 전 언론의 고전에 가까운 글을 읽었다. 1947년도에 나온 보고서다. 바로 허친스 커미슨(Hutchins Commission)이 쓴 ‘Today in Media History: In 1947, the press reported on the report’라는 글이다.
(링크를 통해서 읽을 수 있습니다. https://archive.org/details/freeandresponsib029216mbp)
Free press와 Response press를 다루는 그의 보고서는 150여 페이지에 달한다. 당시의 과제도 지금의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차이점을 짚어내자면, 지금은 팩트체킹이 반드시 필요한 시대라는 점이다. 그리고 그것은 2017년의 우리사회에만 필요했던 것이 아닌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것이 되었다는 차이다. 미국, 독일, 한국 등에서 다양한 팩트체킹 시스템이 나오고 있다. 우리 주위를 돌아다니는 거짓된 것의 양은, 지난 1940년대와 비교해서 급속도로 증가했다.
팩트체크의 10가지 질문
1. 팩트체킹은 진실에 대한 검증인가? - 팩트체크는 사실에 대한 검증이다. 그것은 진실에 대한 검증이 아닐 수 있다.
2. 누가 팩트체킹을 하는가?
3. 누구의 무엇을 팩트체킹하는가? - 모두를 검증하는가? 그것은 불가능하다.
4. 구체적으로 어떻게 팩트체킹을 하는가? - 어떤 하나의 시스템을 통한 전유물은 아니다. 일반명사의 팩트체크는 언론의 취재보도 행위였다.
5. 팩트체킹 결과는 어떻게 판정하는가?
6. 팩트체킹의 오류는 어떻게 바로 잡는가? - 체크도 사람이 하는 일이다. 사람은 편견을 가지고 있다. 팩트체커는 신이 아니다.
7. 말 바꾸기에 대한 팩트체킹도 가능한가?- 정치인들은 여러 자리에서 많은 말을 바꾸는 경향이 있다.
8. 선거공약에 대한 팩트체킹도 가능한가?
9. 팩트체킹이 세상을 바꾸는가?
10. 한국에는 어떤 팩트체킹 모델이 가능한가?
1. 팩트체킹은 진실에 대한 검증인가?
팩트는 실재 경험하는 어떤 사실에 근거한다. 경험할 수 있는 실재는 치밀한 취재를 통해 가능하다. 진실은 경험적 실재에 어떤 맥락과 가치가 불가피하게 개입한다. 그것을 기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석과 영감 등이 들어간다. 예를 들어 기독교 성경의 한 구절의 몇 장 몇 절을 인용하면, 그것은 팩트다. 그러나 그것에 대한 해석은 얼마든지 가능하고, 다를 수 있다.
그렇다면 진실은 무엇인가? 진실에 모종의 주장이 담겨있다. 사실 그 자체는 주장을 반드시 담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모 대선 후보가 중학생 때 성적이 좋지 않았다고 치자. 기자가 성적표를 구했다. 그것은 사실이다. 한 주장이 있다. 그 주장은 모 후보가 중학생 때 반에서 58, 59등을 했다는 팩트로 인해 2017년 19대 대선 후보가 될 수 없다는 주장을 펼쳤다. 우리는 그 주장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중학생 시절의 성적과 대선후보는 개인적으로 아무런 연관관계가 없다. 그것은 해석과 가치의 문제다. 따라서 진실 속에는 사실의 요소가 있지만, 진실 그 자체 또는 사실 그 자체가 진실로 등가 될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진실을 알아낼 수 있을까? 그것은 신만이 할 수 있는 판가름 아닐까? 또 북한에 핵탄두가 몇 개 존재하는지 묻는다면, 미 정보부와 우리나라 국정원 등이 가진 정보들을 토대로 대략 추정할 수 있지만. 입증할 방법은 없다. 따라서 어떤 사안의 진실에 관해서는 때로 상당기간 유보될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즉 우리가 사는 동안 해결되지 않는 사안도 있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사실로 되돌아가 보자. 진실을 검증하기 어렵다면, 사실에 기반을 두고 그것을 기반으로 진실을 추정해 보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까? 그렇다. 그곳에 팩트체킹의 영역이 있다. 진실가치는 알 수 없지만 특정 정치인이 언론을 통해 한 이야기, SNS 등의 글에는 사실을 추정할 단서가 있을 수 있다. 사실이 곧 진실은 아닐 수 있지만. 먼저 진실이라고 접근해 보자는 의미다.
축구도 비디오 판독을 한다. 심판도 오판을 한다. 공이 선 안쪽으로 들어갈 수도 있고 밖으로 나갈 수도 있다. 심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그래서 선심까지 동원해 보지만,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위치에 설치된 비디오 판독기에 의한 처리결과를 바탕으로, 그것은 골이라고 합의하자면 어떻게 될까? 그것은 팩트체킹을 했다고 볼 수 있다.
2. 누가 팩트체킹을 하는가?
언론사, 전문기관, 대학 등이 있다. 이들이 하고 있는 팩트체킹의 방식은 조금씩 차이가 있다. 접근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다양한 언론사들이 다양한 기관, 대학들과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성장을 한다. 이탈할 수도 있다.
먼저 3개의 메이저 기관을 소개하고 싶다. 먼저 Factchek.org라는 곳이다. 그곳은 2003년 개설이 되었고, 투명한 기금으로 운영된다. 스탭 8명과 학부생 팰로우 4명이 팩트체킹 작업을 하고 있다. 1년에 10억 원 정도의 예산을 쓴다. 그 가운데 70%는 Annenberg Foundation으로부터 받고, 나머지는 일반 후원으로 충당한다. 독립적인 운영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Polifitact.com이 있다. 2007년부터 시작했다. 정치인, 언론인과 지식인 등을 검증한다. The Bill & Melinda Gates Fund로부터 후원을 받고 10명의 스탭으로 구성되어 있다.
끝으로 The Fact Checker이다. The Fact Checker는 워싱턴포스트를 기반으로 2011년부터 시작했다. 워싱턴포스트의 Kessler와 뉴스룸 스탭들이 만들고 있다. 앞서 소개한 3가지 기관은, 창설일이다. 모두 다 미국 대선 직전에 생성되었다. 정치인들은 거짓말을 자주한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그들이 거짓말을 쏟아내는 시점에 각각의 대안적인 팩트체킹 모델이 필요했다고 간주할 수 있다.
3. 누구의 무엇을 팩트체킹하는가?
어떤 정보 속에 거짓말이 있는지 아닌지를 밝히는 것은 팩트체킹의 핵심이다. 물론 먼지 털어 안 나오는 삶이 어디 있겠는가? 가령 Polifact는 민주당 편향이고 공화당을 많이 털었다. 정파적이다. 따라서 의혹을 받기 쉽다. 어떤 특정 후보를 많이 거론할수록, 그 사람은 거짓말쟁이가 될 확률이 커진다는 의미다. 선출직 정치인 외에, 전문가와 언론 칼럼니스트, 토크쇼 출연자 등은 팩트체크 대상이 될 수 있다.
또 SNS다. SNS에는 Chain e-mails, Viral messages 등 너무 많은 정보들이 올라온다. 무엇이 참이고 거짓인지 알 수 없다. 누가 어떻게 정리를 해야 할까? 언론과 기관은 팩트체킹을 해야 할 대상과 아이템을 나눌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그 기준을 무엇일까?
a. 검증 가능성(Verifiability) - 세월호에 핵잠수함이 부딪혔다는 가설은 존재했다. 하지만 지난 3년 간 검증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다.
b. 오도 가능성(Likeliness to be misled)
c. 전파 가능성(Likeliness to be transmitted)
d, 일반적 의문(Is it true?)
e. 사안의 중요(Significance)
- 현직 언론인이 겪는 것 가운데 가장 비중 있는 일은 1면 탑 기사를 선정하는 것이다. 그런 결정은 누가하나? 데스크가 한다. 아침마다 1면 탑 기사가 달라진다. 따라서 A 신문에서 바라본 중요도와 B 신문에서 바라본 중요도가 다를 수 있다. 중요성의 조건은 어떤 주장에 사실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곳에는 a. 실재하는 팩트가 있어야 하고, b. 가치 있는 주장이 있어야 하며, c. 영감을 주는 주장이어야 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팩트체킹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서 사안의 중요성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거기간에 가장 잘못된 것은, 기계적 균형성을 지키는 것이다. 기계적 중립성은 면피할 수 있다. 하지만 때에 따라 불필요한 불평을 들을 수 있다. 왜 우리 후보는 왼쪽에 있고, 또 우리후보는 왼쪽에 없는가? 그런 불평이다. 기계적 중립은 공정을 담보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기자와 데스크는 담력이 있어야 한다. 중요한 것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5년 전 일이다. 팩트체크와 관련한 강의를 했다. 정치에 대한 보도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며칠 후 한 임원이 찾아왔다. 정치는 위험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연예와 가벼운 이야기 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나? 되물었다.
JTBC는 팩트체크 200회를 맞이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팩트체크 Top 5를 선정했다.
1위는 “공권력이 노조의 불법파업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우리나라가 2만 달러에서 10년 고생했다. 그런 일 없었다면 3만 달러 넘어갔다”는 한 유명 정치인의 말이었다. 그러면서 그는 “CNN에 연일 매시간 쇠파이프로 경찰을 두드려 패는 장면이 보도되는데 어느 나라가 투자하겠느냐?”고 덧붙였다. 여기 2가지 단서가 발생했다. 검증해야했다. 먼저 기초자료를 조사한다. 1차 데이터는 가장 공신력 있는 자료를 따르고 간접, 직접 인터뷰를 넣는다. 다음으로 취재한다. 취재는 대상 인터뷰다. 끝으로 팩트체커들 간에 크로스 체크를 하는 방식이다.(팩트체킹의 과정 자체도 팩트체킹의 대상임) 덧붙여 맥락에 대한 검토를 하고, 기사작성과 최종 결론에 이르는 단계로 구성되었다.
JTBC는 10년이라는 기간 동안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에 올라가지 못한 나라가 한국만이 아니라는 사실을 찾아냈다. 그리고 CNN에 기자를 보내, 해당 기간 동안 ‘연일 쇠파이프로 경찰을 두드려 패는 장면이 보도되는데, 어느 나라가 투자하겠냐?’는 부분에 대한 검증을 시도했다. CNN 담당자(CNN International Newssource)는 그런 보도를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I have searched our archive and I don’t see any CNN pkgs like that” 따라서 그들은 팩트체킹 결과 그 유명 정치인의 말은 사실이 아니라는 간단한 결론을 내렸다.
팩트체킹 과정에는 매우 중요한 원칙 5가지가 있다.
a. 보도 전제의 투명성(on the record)
b. 단어 맥락 검증
c. 전체 내용 중심
d. 검증 시점 고려
e. 입증 책임 - 허친스 커미슨(Hutchins Commission)도 Burden of proof를 언급했다.
5. 팩트체킹 결과는 어떻게 판정하는가?
Polifact에는 5 point scale + pants on fire가 있다. 그리고 6 truth-O-Meter라는 판정척도가 있다.
a. 진실 – 정확한 발언으로 중요사항의 누락이 없음
b. 대부분 진실 – 정학한 발언이지만, 해명 혹은 추가정보가 필요함
c. 절반의 진실 – 부분적으로 정확한 발언이지만, 중요한 세부사항이 빠졌거나 맥락에서 벗어남
d, 대부분 허위 – 진실의 요소는 갖췄으나, 다른 인상을 줄 수 있는 결정적인 사실이 무시됨
e. 허위 – 정확하지 않음
f. 새빨간 거짓말 – 정확하지 않은 발언으로 허무맹랑한 주장을 펼침
6. 팩트체킹의 오류는 어떻게 바로 잡는가?
Polifact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3가지를 방식(Polifact Review & Correction)통해서 바로잡는다.
첫 번째는 수정을 통해서다. 수정은 추후 사실적 오류가 인지된 경우 수정(correction)으로 공지한다.
두 번째는 갱신이다. 갱신은 시의성으로 인해 필요한 경우 갱신(update)로 공지한다.
끝으로 재검증이다. 재검증은 팩트체킹의 오류가 심각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재검증으로 공지한다.
7. 말 바꾸기에 대한 팩트체킹도 가능한가?
Polifact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3가지 방식(Polifact Flip-O-Meter)으로 팩트체킹을 한다. 첫 번째는 No Flip으로 의미있는 입장 변화 없음이다. 두 번째는 Half Flip으로 부분적인 입장 변화 있음이다. 끝으로 Full Flip으로 완전한 입장 변화가 있음이다.
8. 선거공약에 대한 팩트체킹도 가능한가?
Polifact의 경우 Obameter & Trump-O-Meter라는 페이지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9. 팩트체킹이 세상을 바꾸는가?
입증책임(Burden of Proof)이 있다. 사회 커뮤니케이션 주체(정치인, 지식인, 눈)에 제도, 사회적으로 강력하고 정교한 입증책임을 부여함으로써, 뉴스와 정보 환경 질서에 기여할 수 있다. 팩트체커에게도 동일한 수준의 강력하고 정교한 입증책임을 부여한다. 그리고 뉴스는 소비자를 위한 공공서비스다. 팩트체킹 공공 서비스를 통해 독자에게 안정감(sense of srcurity)를 제고할 수 있다. 뉴스 소비자 스스로의 뉴스환경에 대한 이해와 개선이 필요하다. 뉴스 소비자 시민운동을 통해 사회의 신뢰 자본에 대한 가치를 제고해야 한다.
팩트체크는 환경운동과 비슷하다. 우리 사회는 환경문제의 중요성 때문에 기관과 단체 등이 생겼다. 뉴스도 마찬가지다. 정보의 검증에도 환경운동과 같은 사고방식이 필요하다.
10. 한국에는 어떤 팩트체킹 모델이 필요한가?
크게 2가지다. 언론사 모델이 있고 대학 연구기관 모델이 있다. 언론사 모델에는 다양한 언론사가 다양한 팩트체킹 방식을 개발, 채택, 실행할 수 있다. 언론 소비자 시장에서의 자유로운 경쟁이 가능하다. 대학 연구기관 모델에는 대학 내에 독립성과 신뢰성이 높은 팩트체킹 연구기관이 필요하다. 동시에 독립적인 팩트체킹 실행 및 공표기관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그리고 투명한 기부금 재원에 의존한 지속가능한 팩트체킹 시스템이 필요하다. 어떤 기업이 얼마나 지원해 주었는가 투명하게 공개해야한다. 투명한 기부금 없이는 투명한 운영이 없다고 본다. 그렇게 한다면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지속가능한 팩트체크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고 본다.
이상으로 10가지 현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팩트체킹으로 바뀌는 세상이란 어떤 것일까? 팩트체킹은 정치를 바꿀 수 없다. 우리 환경이 이렇게 오염되었으니, “여러분, 마스크를 쓰고 나가세요.”하고 말하는 것이 팩트체킹의 핵심이다.
Fact-Checking is not to change the politicians, but to provide public service for the readers.
- Sesno, Adair, Jackson
질의응답
※ 고려대학교 마동훈 교수 외에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윤석민 교수가 함께 참여해 질의응답
Q.[서울대학교 윤석민 교수에게 질문] 팩트체킹이 인공지능과 결합가능성이 있는가?
A.지난 주 금요일 있던 세미나에서 한국 언론재단 오세욱 박사가 알고리즘 이용한 팩트체킹 가능성에 대해 발표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가까운 시일 내에 어렵더라도 무엇을 팩트체크 할 것 인가? 화제성 지수를 종합해 최소한 얼렛을 찾아내는 것까진 가능하다고 본다. 또 뉴스트러스트 위원회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좋은 뉴스 감별이 진전될 것으로 본다.
Q.[서울대학교 윤석민 교수에게 질문] 경쟁적 팩트체킹에 대해서 어떻게 보나?
A. 내일 아침(29일)이 되면 SNU FactCheck(서울대학교 팩트체크)가 네이버의 뉴스서비스 서브메뉴에 들어갈 것이다.(아래 그림 참조) 네이버와 1차 언론사들이 협업적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미 열심히 하는 언론사들이 있으니 생산적인 자극을 받지 않을까? 팩트체크를 어떻게 할지 시스템에 들어와 보면 쉽다. 언론의 미래는 팩트체크에 있다. 언론이 가지고 있는 본래적 책무의식, 우리가 뒤질 수 없다는 의식이 있다. 열심히 해 달라고 그 안에서 조를 참이다. 그런 역할도 있다.
※ 참고로 서울대학교 팩트체크는 공적관심사항으로 언론보도, 공직자 및 선거 (예비)후보 등의 진술, 기타 정보통신망 등을 통해 알려진 사질적 정보의 사실성을 검증하는 서비스로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와 제휴 언론사와의 협업모델(팩트체크위원회)이다. 언론의 책무활동을 돕고 그를 통해 국민의 알권리 증진과 식견 있는 판단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운영규정안 제2조) 제휴언론사는 3월 29일 현재 동아일보, 매일경제, 서울신문,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경제, 한국일보, JTBC, KBS, MBN, SBS, TV조선, YTN(국영문 가나다순)의 14개다. 국내에서 언론사들이 함께 팩트체크 서비스를 선보이는 것은 ‘SNU FackCheck’가 처음이며, 전 세계적으로도 프랑스의 ‘CrossCheck’ 이후 두 번째다.
▶ http://news.naver.com/main/election/president2017/factcheck/press.nhn
Q. 익명성이 짙은 모바일에서 막무가내로 다 팩트체크를 할 수 있는 것도 아닌데 어떻게 해야 하나?
A. 일일이 다 검증할 수 없다. 제보를 받는 것도 좋고 무엇이 의미 있는 것이냐는 판단이 필요하다. 1면 탑 기사는 하나 밖에 없지 않은가?
추기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의 SNU FactCheck의 마지막 장표(윤석민 교수 발제)를 옮김
“위태로운 시민적 분노의 대립 상황에서 치러지는 2017 대선을 참된 민주주의의 길로 이끌기 위해 언론의 역할이 너무도 막중합니다. 가치 있는 장보, 균형 잡힌 의견 전달을 통해 분노한 시민들의 이성을 일깨우고 거리의 정치에 편승하는 무책임한 정치권의 행태를 감시하는 언론 본연의 역할이 그것입니다. 특히 최근 기승을 부리며 시민들의 혼돈과 분노를 부추기는 가짜뉴스(Fake News)의 횡행은 이러한 역할을 한층 중요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가짜뉴스를 법규로 막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한 때 저작권법이 인터넷 콘텐츠를 퍼 나르는 모든 청소년을 범죄자화 할 뻔했던 것처럼 자칫 소셜 미디어를 통해 뉴스를 주고받는 온 국민들을 범법자로 만들 우려도 있습니다. 가짜뉴스의 온상이자 주범인 정치권이 이 싸움에 적극 나서는 것은 마치 고양이가 생선을 지키겠다고 나서는 꼴입니다. 언론영역의 문제에 국가기관이 개입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결국 언론과 대학 등 공공부문이 주도하는 팩트체킹이 정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