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소외된 세상, 저출산 부른다"

글로벌Y
글로벌Y
2025.01.12. 오후 7:44
글자크기설정
[앵커]
'아이의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는 나라',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앞서 보신 것처럼 전 세계적으로 저출생으로 인한 여러 문제가 나오고 있는데요.

이번 주 글로벌 와이에선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정재훈 교수와 저출생 원인과 대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일단 우리나라 저출산 문제 근본적인 원인부터 좀 짚어주실까요?

[정재훈 /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사람이 소외된 사회, 사람이 소외되어 가고 있는 사회가 우리의 모습 거기에서 어떤 근본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한국 사회의 모습이 결국은 이런 아이를 낳고 키우는 굉장히 어떻게 보면 사람의 본성 같은 과제이기도 한데 이런 것들이 이제 뒷전으로 밀리는 그런 것이 저출생의 문제로 연결이 되고 있다 뭐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앵커]
스웨덴 같은 나라들이 이제 일과 가정이 좀 잘 양립이 된 나라로 이제 일컬어지고 있잖아요. 우리나라에도 좀 실질적인 해법이 될 수 있을까요?

[정재훈 /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필요조건으로써 (양육) 비용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이 되고 그다음에 충분조건으로써 일·가정 양립을 통한 어떤 삶의 만족도 향상 이런 것들이 이루어지면 '출산율은 반등할 수 있는 구조는 갖춘다', 이렇게 볼 수 있겠죠.]

[앵커]
저출산 문제를 심하게 겪고 있는 국가들은 대부분 동아시아 국가들이잖아요. 어떤 문화적 차이가 있다고 봐야 될까요?

[정재훈 /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상당히 이런 어떤 유교주의에 따른 전통주의적 가족관계 남녀 성별 역할 분리 이런 규범들이 굉장히 강하죠. 서유럽 국가에서도 보면 전통적인 성별 역할 분리 그래서 '아빠는 나가서 돈 버는 존재고 엄마는 집에서 살림하는 존재다' 이런 그 의식이 여전히 강한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 이런 나라들이 여전히 출산율이 낮습니다. 전통적인 가족 관계 가족주의가 강한 나라들이 독일이나 오스트리아 스위스 같은 나라들이 최근에 이제 급격한 변화를 겪으면서 어 좀 이제 저출산 국가에서 벗어나는 상황이고. 우리가 이제 아이를 왜 안 낳느냐 그러면 비용 문제를 이야기하잖아요. 사교육 때문에 그러니까 우리가 비용 부담을 이야기하는데 서유럽 복지국가들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복지국가 전략으로서 해결한 사회보장 제도로서 해결한 비용은 기본 비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근데 우리가 말하는 비용은 그런 복지 국가 전략으로서 해결할 수 없는 압박 비용, 이런 압박 비용의 문제는 정책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거든요. 아예 학원비를 국가에서 대주겠습니까? 그러니까 결국은 이런 압박 비용의 문제를 낳는 어떤 문화적인 요인들이 동아시아 국가에 강하게 존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