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스마트폰이 필수품이 된 시대, 청소년들의 소셜 미디어 사용은 일상으로 자리 잡았는데요.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SNS 과의존이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에서는 청소년들의 SNS 사용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는데요.
SNS 사용 제한이 효과가 있을지 방수영 노원 을지대 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청소년들의 SNS 과의존이 청소년들의 어떤 뇌 건강이나 아니면 정서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부터 좀 설명을 해 주실까요?
[방수영 / 노원 을지대학교병원 정신의학과 교수 : 0세에서 2세 사이 이후부터, 이제 남학생 같으면 만 25세까지, 여학생 같으면 만 20세까지 뇌가 성장을 하고 있는데요. 특히나 가장 늦게 성장하는 부위가 전전두엽이라는 부위예요.
거기가 이제 어떤 조절하고 충동을 관리하고 또 어떤 계획을 세우는 이런 부위인데 여러 연구에 따르면 'SNS 중독이라든지 이런 미디어 중독이 심할 경우에 그 부위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아이들이 뇌 발달에 영향이 있을 거다' 이제 이런 우려가 있습니다. 뇌 발달의 측면에서 보지 않더라도 하루에 3시간 이상 SNS를 사용하는 아이들이 우울과 불안이 두 배 이상 높을 위험이 있다.]
[앵커]
SNS 사용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조금 심화한다거나 어떤 영향을 끼치는 부분이 (있을까요?)
[방수영 / 노원 을지대학교 병원 정신의학과 교수 : 어떤 사건 사고가 있었을 때 SNS에서 부정적인 정보를 많이 보게 되면 어떤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이 좀 나빠지는 걸로 돼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가급적이면 큰 사건 사고 이후에 마치 내 일처럼 느껴지고, 또 너무 신경이 쓰여서 계속 보게 되는 경우에는 한동안은 SNS를 조금 좀 덜 보시도록 권해드리는 편이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