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변화들이 우리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김민지 교수와 함께 짚어봤습니다.
얼마 전에 이제 독일에서 성별을 자기가 결정할 수 있는 성별 자기 결정법이 시행이 됐잖아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실까요?
[김민지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누가 봐도 여성의 신체니까 여성으로 허가해 주겠어." 혹은 "남자의 신체니까 남자로서 허가해 주겠어." 이런 접근을 탈피해서 "나는 남성으로 정체화하느냐 여성으로 정체화하느냐" 이런 것들을 "존중해 주겠다. 개개인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 왜냐하면 근본적으로는 그것(정체성)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그 사람이고 그리고 그 정체성으로 삶을 살아나갈 사람도 그 사람이라는 거죠. 어떤 개개인의 선택의 다양성을 존중하겠다는 입장들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죠.]
[앵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어느 나라든 보수냐 진보냐에 따라서 이런 젠더 이슈냐 성 소수자 이슈가 조금씩 이렇게 입장이 바뀌어지고 있는데 이런 원인은 어디에 있다고 보시나요?
[김민지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과거에는) 열심히 살면은 이제 집도 해결이 되고 아이들 교육도 시킬 수 있고 그리고 아이들의 삶은 나보다 더 더 낫게 될 어떤 가능성이 더 높아지고 이랬다면 지금은 그렇지 않은 상황이잖아요. 근데 이런 힘든 삶에서 이런 불평등을 야기하는 구조적인 어떤 속성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해결하기에는 너무 큰 이슈이잖아요.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나보다 못하다고 생각하는 그룹들 때문에 내가 이렇구나." 미국에서는 이민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우리 사회에서는 "그러니까 여성 때문에 내가 역차별을 받고 있구나, 여성 때문에 내가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지 못하는구나, 나는 더 나의 능력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남성이라는 이유로 여성들에 비해서 평가 절하되고 있구나" 이렇게 이제 탓할 /희생양을 찾게 되는 것이죠.]
[앵커]
그러면 이제 이런 다양성 정책이 폐기되고 있잖아요. 어떤 노동시장이나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