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은 이용자의 몫? 가짜뉴스의 홍수에 빠진 미국
[앵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일부 빅테크 기업이 사실 확인 시스템 규모를 대폭 축소하면서, 미국에서는 가짜뉴스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 기업들은 이용자 주도 정보 검증 시스템을 도입하며, 사실 확인의 책임을 이용자에게 떠넘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신승진 리포터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지난 1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며 빅테크 기업의 정책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었습니다.
글로벌 테크 기업 메타는 자사 플랫폼의 '사실 확인' 기능과 '혐오 표현 규제' 정책을 폐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자체 콘텐츠 검열 기능을 없애려는 트럼프 대통령 측의 요구에 부응한 것으로,
시민들은 가짜 뉴스가 남발할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사브리나 도란테스 / 대학생 : 유명인사의 사망 소식 같은 경우, 가끔 그런 뉴스가 사실이 아닐 때가 있는데, 세부 내용이 왜곡하거나 조작하는 경우가 있어요. 다양한 기사 속에서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거짓인지 구분하는 게 참 어려운 것 같아요.]
[클리프턴 파델 / 대학생 : 기억에 남는 가짜뉴스는 모두 정치적인 것들이에요. 특히 정치인들이 선거 운동을 할 때, 소셜 미디어에서 그런 내용이 훨씬 더 많이 보이는 것 같아요.]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합성 영상물 등 눈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가짜 뉴스가 퍼지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