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상처는 남과 북 모두의 아픔"… 사진작가 이토 다카시

디지털 코리안 타운
디지털 코리안 타운
2019.04.11. 오후 1:29
글자크기설정
[인터뷰: 이토 다카시 / 사진작가]
"같은 민족의 기자가 취재하는 것이 아무래도 잘할 수는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일본인인 제가 취재하는 것도
의미는 있다고 믿습니다."

이토 다카시 (67)
- 일본 사진작가
- 38년 동안 일제의 피해자 800여 명 취재
- 92년 이후 북한 위안부 피해자 14명 취재
- 저서 <평양에서의 고발>(2001), <히로시마·평양>(2010) 등

<1> '가해자' 국민으로서 '피해자'를 기록하다

[인터뷰: 이토 다카시 / 사진작가]
"일본에서는 8월 15일 등 특별한 날에나 전쟁 피해자가 출연해 여러 이야기를 합니다. 하지만 이야기를 하는 사람은 공습이나 원폭 피해를 입은 일본인입니다. 일본인 피해자의 이야기밖에 들리지 않습니다. 피해자의 기록을 '가해' 당사자인 일본도 해야 하고, 또 그 내용을 일본 사회에 전해야 한다는 강한 믿음이 있었습니다."

<2> 식민지배 피해자, 북한에서 만나다

[인터뷰: 이토 다카시 / 사진작가]
"저는 많은 한국의 피해자를 취재했습니다. 한국의 기자 역시 그들을 취재했고 언론을 통해 여러 차례 소개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에 거주하는, 남한 주민과 마찬가지로 식민 피해자인 그들에 관한 기록이 전혀 없었습니다. 그래서 지난 1991년 북한에 취재 요청을 했습니다. 당시 저는 북한에 여러 번 오고 갈 필요 없이 석 달 정도 북한에 머물면서 북한 내 피해자를 취재하면 충분하지 않을까, 처음에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만 제가 할 수 있는 한 많은 피해자를 만나 기록에 남겨야 한다는 당위가 생겼고, 그러면서 북한에 가는 횟수가 잦아져 결국, 모두 40여 차례 북한에 다녀오게 됐고 그 가운데 30여 차례는 여러 피해자를 직접 만나 기록했습니다.
그동안 원폭 피해자나 전쟁터로 끌려간 조선 군인들 또 강제징용된 사람의 이야기를 많이 들었던 게 위안부 취재에 도움이 됐습니다. 취재하면서 피해자의 분노를 모두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힘이 생긴 거죠. 위안부 취재 과정에서 물건을 던지는 할머니도 계셨고 싸울 듯 격앙돼 말씀하시는 분도 계셨습니다. 취재는 힘들었지만 가장 중요한 건 그들의 이야기를 제대로 기록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